반응형

전체 글 71

[보안뉴스 읽기] 다크웹서 내부 네트워크 침투용 VPN 계정 판매

기사 링크 해커, 국내 대기업 계속 노리나? 다크웹서 내부 네트워크 침투용 VPN 계정 판매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LG전자, 현대·기아자동차그룹, 이랜드그룹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랜섬웨어 해커조직들의 지속적인 타깃이 되고 있는 가운데 얼마 전부터는 국내 대형 기업들의 내부 www.boannews.com 기사의 주요 내용 최근 원격 근무 증가로 인해 VPN을 사용하는 회사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 계정이 해커들에게 노출되어 다크웹에서 판매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주요 용어 -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사설망) 인터넷망과 같은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이용하는 방식으로, 집 등 외부 인터넷 환경에서 회사 내부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 - LDAP(Lig..

[python] 파이참 설치하기

파이썬을 간단하게 사용하려면 간단한 편집기를 사용해도 되고 비쥬얼 스튜디오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번에 사용해볼 IDE는 지난회사에서 장고를 사용해서 웹개발을 할때 사용했던 파이참입니다. 파이썬에는 커뮤니터 버전과 프로페셔널 버전이 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차이점이 있습니다. 웹개발까지는 아직 생각이 없어서 커뮤니티 버전을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아래 링크로 이동하시면 윈도우 버전 설치가 가능합니다. www.jetbrains.com/ko-kr/pycharm/download/#section=windows 다운로드 PyCharm: JetBrains가 만든 전문 개발자용 Python IDE 최신 버전 다운로드: PyCharm (Windows, macOS, Linux) www.jetbrains.com 설치 과정..

language/python 2021.03.02

[운영체제] Thread와 Process

Thread 프로세스내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독립적인 실행 단위 Thread 장점 - 빠른 프로세스 생성 - 적은 메모리 사용 - 쉬운 정보 공유 Thread 단점 -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음. * 교착상태(Deadlock) 다중프로그래밍 체제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스가 수행 할 수 없는 어떤 특정시간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 Process 운영체제에서 실행중인 하나의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쓰레드를 포함) Thread와 Process 차이 - Process는 여러 분야에서 '과정' 또는 '처리'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컴퓨터 분야에서는 "실행중인 프로그램" 이라는 뜻으로 쓰임 -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각각의 일을 스레드라고 함. -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세부 작업 단위로 여러 개의 스레드..

운영체제 2021.02.23

[java] 2가지 데이터 타입 Primitive type, Reference type

Primitive type(기본형 타입) - 변수에 값 자체를 스택 메모리에 저장함 - 컴파일 시점에 지정된 크기를 벗아나면 컴파일 오류 발생함 - 아래와 같은 8가지의 타입이 존재 - Null이 존재하지 않음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실수형 char 논리형 boolean Primitive type은 Wrapper Class를 통해 객체로 변형할 수 있다. 예) int→Integer, char→Character(int와 char를 제외한 Primitive type의 다른 자료형들은 맨 앞 알파벳을 대문자로 바꿔주면 된다. float→Float) * Wrapper Class Primitive type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간단한 데이터를 객체로 만들어야..

language/java 2021.02.23

[java] Interface, Abstract의 특징과 차이점

Interface의 특징 - 클래스가 아님 - 오직 추상메서드와 상수만을 멤버로 갖음. - Implements 키워드를 사용함. - 상속의 관계가 없는 클래스간 서로 공통되는 로직을 구현하여 쓸 수 있음. - Extends는 하나의 클래스만 상속 가능하나 Interface는 다중 상속이 가능함. Abstract의 특징 - 추상메서드를 하나 이상 가진 클래스임 - 자신의 생성자로 객체 생성 불가능함. - 하위 클래스를 참조하여 상위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함. - 하위 클래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함. Interface vs Abstract 공통점 - new 연산자로 인스턴스 생성 불가능. - 프로토타입만 있는 메서드를 가짐 -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위클래스에서 확장/구현 해야함 차이점 - 사용하는 키워드가 다름..

language/java 2021.02.23

[포토샵] 이미지에 있는 글씨 지우기

단색 배경의 이미지에 글씨를 패치툴(Patch Tool) 기능을 사용해서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패치툴 기능은 주변의 이미지로 선택한 영역을 덮는 기능입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BACKGROUDN 글자를 지우는 케이스로 준비했습니다. 패치툴만 사용해서 작업하기 1. 도구툴에서 Patch Tool을 선택합니다. 2. 지우고자하는 영역을 지정하고 해당 영역을 드래그해서 이동하면 이동하는 부분의 이미지로 변경됩니다. 3. 아래 그림과 같이 같은 배경인 곳으로 패치툴로 선택한 영역을 이동하면 'BACKGROUND' 글자가 지워집니다. 올가미툴 + 패치툴 사용해서 작업하기 직선이나 복잡한 모양을 덮고 싶은 경우에는 올가미툴을 사용해서 영역을 선택하고 패치툴을 사용해서 이동합니다. 올가미툴 사용방법은 아래 ..

문자형 char, varchar, text 의 차이

postgre에서 문자형에는 각각 char, varchar, text 있다. 각각의 특징 및 차임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요약 문자형 설명 CHARACTER VARYING(n), VARCHAR(n) 크기는 유동적이고 길이 제한 있음 CHARACTER(n), CHAR(n) 크기와 길이가 고정 TEXT, VARCHAR 길이 제한 없음 2. 특징 char - 크기가 고정 ex) char(10)에 'abc'가 들어가도 10바이트의 크기를 가짐 - 길이가 고정이기 때문에 정해진 값보다 큰 값이 들어오면 오류 발생 - 사원번호, 주민번호 등의 고정적인 데이테에 사용하는것이 유리. - varchar, TEXT는 크기를 계산하는 동작이 포함되기 때문에 느릴수 있음 varchar - 크기가 가변적. ex) char(1..

sql/postgre sql 2021.02.19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본

Spring Framework(스프링 프레임워크) -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Open Source)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자바 엔터프라이즈 개발을 편하게 해주는 오픈 소스 경량급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자바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종속 객체를 생성해주고, 조립해주는 도구 - 자바로 된 프레임워크로 자바SE로 된 자바 객체를 자바EE에 의존적이지 않게 연결해주는 역할 -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OP)을 위한 풍부한 지원 - 애플리케이션 객체의 생명 주기와 설정을 포함하고 관리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컨테이너라고 할 수 있음 - 간단한 컴포넌트로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설정할 수 있음 Spring 특징 1. 경량 컨테이너로서 자바 객체를 직접 관리 - 각각의 객체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네트워크] 세션과 쿠키의 차이점

세션과 쿠키 사용 이유 인터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HTTP프로토콜은 연결 지향적인 성격을 버렸기 때문에 새로운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새로운 접속이 이루어지며 이전 페이지와 현재 페이지 간의 관계가 지속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HTTP프로토콜을 이용하게 되는 웹사이트에서는 웹페이지에 특정 방문자가 머무르고 있는 동안에 방문자의 상태를 지속시키기 위해 쿠키와 세션을 이용한다. 세션(Session) - 특정 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가 머무르는 기간 또는 한 명의 사용자의 한번의 방문을 의미 - Session에 관련된 데이터는 Server에 저장 - 웹 브라우저의 캐시에 저장되어 브라우저가 닫히거나 서버에서 삭제시 사라짐 - Cookie에 비해 보안성이 좋음 쿠키(Cookie) - 사용자 정보를 유지할 수 없다는 H..

[네트워크] GET, POST 설명과 차이점

Get 방식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주소 뒤에 "이름"과 "값"이 결합된 스트링 형태로 전달 - 주소창에 쿼리 스트링이 그대로 보여지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진다. - 길이에 제한이 있다.(=전송 데이터의 한계가 있다.) - Post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전송 속도가 빠르다. Post 방식 - 일정 크기 이상의 데이터를 보내야 할 때 사용한다. - 서버로 보내기 전에 인코딩하고, 전송 후 서버에서는 다시 디코딩 작업을 한다 - 주소창에 전송하는 데이터의 정보가 노출되지 않아 Get방식에 비해 보안성이 높다. - 속도가 Get방식보다 느리다. - 쿼리스트링(문자열) 데이터 뿐만 아니라, 라디오 버튼, 텍스트 박스 같은 객체들의 값도 전송가능. Get과 Post 차이점 - Get은 주로 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