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공부/디즈니 노래

[겨울왕국] Let It Go vs 다잊어 가사 비교와 분석

superminy 2025. 2. 14. 09:29
728x90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Frozen, 2013) 의 대표곡 "Let It Go" 는

원곡과 번역 가사 간의 차이가 흥미로운 곡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원곡 가사와 한국어 번역 가사를 비교하고,

의미 차이에 대해 분석해보겠습니다.

 

시작전에 "Let It Go" vs "다잊어" 영상을 보겠습니다.

 

"Let It Go"

 

 

"다잊어"

 


1. 원곡 가사 vs. 한국어 번역 가사

원곡 (영어)

Let it go, let it go
Can't hold it back anymore

 

한국어 버전 (해석 및 번역 가사)

"다 잊어, 다 잊어"
"더는 참지 않을래"



분석:

"Let it go"는 직역하면 "내버려 둬" 또는 "포기해" 정도로 해석될 수 있지만,

한국어 가사에서는 "다 잊어" 로 번역되었습니다.

원곡에서는 '억누르던 감정을 해방한다'는 느낌이 강하지만,

한국어 버전에서는 '과거를 잊고 새로운 시작을 한다'는 느낌으로 해석되었습니다.


원곡 (영어)

The cold never bothered me anyway

한국어 버전 (해석 및 번역 가사)

"추억은 눈처럼 사라져 가도"



분석:

직역하면 "추위는 원래 나를 괴롭히지 않았어." 정도인데,

한국어 번역에서는 완전히 다른 의미로 변했습니다.

원곡에서는 엘사가 ‘추위 속에서도 자유로워졌음을’ 강조하는 반면,

한국어 버전에서는 ‘과거(추억)를 눈에 비유하며흘려보내는’ 느낌이 더해졌습니다.

이런 변화는 한국어 가사의 운율과 감성적인 표현을

고려한 번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왜 이렇게 번역되었을까?

☞ 운율과 리듬 맞추기

 원곡의 음절 수와 한국어 번역의 음절 수가 비슷해야 하므로,

직역보다는 자연스러운 리듬을 살리는 방식으로 번역됩니다.

예를 들어, "The cold never bothered me anyway" 를 직역하면

너무 길고 어색해지기 때문에, 짧고 감성적인 문장으로 바뀌었습니다.

 

  문화적 감성 차이

영어권에서는 ‘추위를 견딜 수 있다’는 표현이 독립적이고 강한 성격을 상징하지만,

한국어에서는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표현이 더 익숙합니다.

그래서 ‘추억’이라는 단어를 넣어 감정적인 울림을 더한 것으로 보입니다.


3. 결론: 번역은 단순한 단어 변환이 아니다

"Let It Go" 의 번역 가사를 보면, 단순히 단어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음악적인 요소, 감성적인 요소, 문화적인 차이 등을 고려하여

재해석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직역과 의역 사이에서 의미를 조절하면서도,원곡이 전달하려는 감정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보이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영어 원곡과 한국어 번역 중 어떤 버전이 더 마음에 드시나요?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728x90
반응형